전공공부
[K8S - CKA] API Groups 본문
쿠버네티스의 API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봅시다. 클러스터 상태에 대해서 알아보는 API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봅시다.
아래는 쿠버네티스의 코어 API 입니다.
1. API Groups
named API의 경우에는 좀 더 세부 디테일 작업과 Resource의 액션모음을 가지며 위 아래 API 서비스는 모두 API 서버에 포트 6443으로 액세스하면 사용 가능한 API 그룹이 표시되며 명명된 API 그룹 내에서 지원되는 모든 그룹이 반환된다.
하지만, curl을 사용해서 직접 보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보면 알겠지만 굉장히 복잡하고 힘들다 이런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개발된 것이 kubectl proxy이다.
# 예시: 현재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pod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
curl --cacert /path/to/ca.crt \
--cert /path/to/user.crt \
--key /path/to/user.key \
https://api.example.com/api/v1/namespaces/default/pods
2. Kubectl proxy
아래 명령어로 proxy를 켜주면
kubectl proxy
127.0.0.1:8001 #여기서 프록시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이후에 이렇게 요청시 curl 127.0.0.1:8001 -k 실행시 사용가능한 API 목록을 나열 합니다.
proxy가 kube config의 ca,crt 정보를 다 인가처리 해주는 것이다.
'Study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 CKA] Role Based Access Controls (1) | 2024.01.10 |
---|---|
[K8S - CKA] Authorization (0) | 2024.01.09 |
[K8S - CKA] CA KubeConfig (0) | 2024.01.07 |
[K8S - CKA] Certification API (1) | 2024.01.07 |
[K8S - CKA] TLS in K8S (1) | 2023.12.17 |